使用者:盛世/沙盒

ko:서남 방언--全羅道方言/西南方言

全羅道方言,又稱西南方言湖南方言,是在朝鮮半島西南部使用的一種方言。一般來說在光州廣域市全羅南道全羅北道等湖南地方使用。全羅道方言與中部方言、西北方言等一樣,有長短元音之分,並以音長來區分單詞的意思。全羅道方言的輔音體系和中部方言是一樣的。

特徵

編輯

全羅道方言有很多元音變音現象,如'퇴끼'(토끼,兔子), '괴기'(고기,肉), '가랭이'(가랑이, 叉兒)等。另外有把'ㅓ'發成'ㅡ',或 把'ㅔ'發成'ㅣ'的高元音化現象,這是這種方言的其中一種特徵之一。這種現象頻繁發生於長元音的時候,如'그짓말'(거짓말,謊話),'비개'(베개,枕頭)等。還有,句末常以 ~디 , ~잉結尾。

逆行同化現象非常常見,也是這種方言的特徵之一。'잽히다'(잡히다),還有'괴기/게기'(고기)等的逆行同化現象在韓國分布十分廣泛。像'뱁이다, 맴이다'等名詞後面的助詞也發生逆行同化,雖然忠清道部分地區也有這種現象,但在南部方言中更常見。

서남방언에서 'ㅅ'불규칙 활용을 보이기도 하는 '짓-' 등 일부 용언을 제외하고 'ㅅ'불규칙 용언은 존재하지 않는다. 'ㅂ'불규칙 용언은 일부 경상도 인접 지역에서 'ㅂ'규칙 활용을 하나 이들 지역을 제외하고는 불규칙 활용을 보인다(잇고·이서서[이어서]·춥다·추워). 서남방언에서 'ㄺ, ㄼ' 등의 용언 어간말 자음군은 자음 앞에서 'ㄹ'을 탈락시켜 발음한다(익다[읽다], 익고[읽고], 넙다[넓다], 넙고[넓고]). 서남방언에서 중세국어의 ' '는 제1음절에서 대체로 '아'로 변화했으나 'ㅁ·ㅂ·ㅍ' 등 순음(입술소리) 아래에서는 대부분 '오'로 변화했다.

助詞'의'會被讀作'으',這也是這種方言的一個特徵之一。

남부 서남방언에서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'-느-'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(잡은다[잡는다]). 서남방언의 특징적인 어미로는 하대(下待)의 의문형 종결어미 '-능가', 존재의 설명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인 '-(지)라오, -(지)라우', 존대선어말어미 '-게-, -기-, -겨-' 등이 있다. '가셔라우'(가셔요), '할머니가 외게서'(할머니가 오셔서)에서처럼 '-게/겨-'가 쓰이는 현상도 특기할 만하다. 이유 표시 어미로는 '-응깨'와 '-응개'가 있는데 전자는 남부 서남방언에서, 후자는 북부 서남방언에서 사용된다.